티스토리 뷰
이번 포스팅은 중국의 최대 부동산 개발 업체인 '헝다 그룹'의 파산 위기를 다룬 주요 언론사별 헤드라인을 소개합니다.
[MBC] 중국판 '리먼 사태'?‥빚 350조 헝다 그룹 파산 공포
입력 2021-09-21 19:13 | 수정 2021-09-21 19:17
중국의 최대 민영 부동산 개발 업체인 '헝다' 그룹이, 대규모 부채를 감당하지 못해서 파산 위기에 몰렸습니다.
2008년 '리먼 브라 더스'사태 처럼 세계 금융 시장에 큰 충격을 줄 거란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홍콩과 뉴욕 증시가 일제히 폭락했습니다.
[시사 매거진] 헝다그룹 위기, 나스닥·다우·가상화폐까지 영향 미쳐
입력 2021.09.21 14:33
전 세계 금융시장이 중국 헝다그룹의 파산 위기에 긴장하고 있다.
20일 미국 증시는 3000억달러 넘는 천문학적 부채를 지닌 중국의 부동산개발회사 헝다(恒大·영어명 에버그란데)의 파산 우려로 5월 이후 최대 하락세를 기록했다.
헝다가 밝힌 부채만 1조9700억위안(3040억달러)에 달한다. 올 봄부터 파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제기됐고 지난 7~8일에는 국제 신용평가회사인 무디스와 피치가 헝다의 신용평가 등급을 각각 두 단계로 낮추고 '파산 가능성'을 경고한 바 있다.
반응형
[매일경제] 헝다그룹 충격에 암호화폐도 휘청…비트코인 9.87% 급락
입력 : 2021.09.21 08:48:02 수정 : 2021.09.21 09:09:41
중국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그룹(에버그랜드그룹) 파산 우려가 확산하면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가격이 급락했다.(매경) 현재 헝다그룹 부채는 총 3000억달러(약 356조7000억원)로 알려져 있다. 이는 중국 은행 전체 부실채권 총액(2조7000억 위안)의 73%에 달하는 수준이다.(매경) 만약 헝다그룹이 파산 시 150만명으로 추산되는 아파트 선분양자들이 직격탄을 맞게 되고, 금융기관에 연쇄적인 충격이 불가피하다. 헝다그룹은 128개 이상의 은행과 120개 이상의 기타 금융기관에 채무를 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JTBC] 중국 헝다 파산설에 세계 증시 쇼크…연휴 뒤 한국은?
입력: 2021-09-21 20:00
중국의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그룹이 파산 위기에 처해 세계 주요 증시가 흔들렸습니다. 뉴욕 다우지수뿐 아니라 암호화폐 가격까지 떨어졌습니다. 이 뉴스가 중요한 이유는, 우리도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입니다. 350조원의 빚을 진 헝다그룹이 파산하면 한국과 세계 경제에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글로벌이코노믹] [뉴욕증시 마감] 헝다그룹 파산 공포에 3대 지수 ‘와르르’
기사입력: 2021-09-21 05:45
중국 부동산 업체 헝다그룹의 파산 공포로 20일(현지 시각) 뉴욕 주식시장은 몇 개월 만에 가장 가파른 하락세를 보였다. 뉴욕증시 주요 지수의 폭락은 정오에 가속화되었다가 장 종료를 앞두고 낙폭을 줄였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8% 하락한 약 614포인트를 기록했다. 다우지수 폭락은 캐터필라와 골드만삭스 같은 금융주가 하락이 컸기 때문이다. 스태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7% 떨어졌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 지수는 장중 한때 3% 이상 폭락했다 장 후반 낙폭을 줄이며 2.2% 하락했다.
[한국경제] "헝다그룹 파산땐 중국 부동산시장 휘청"
입력 2021.09.21 08:02 수정 2021.09.21 08:02
"부동산 개발업 뿐 아니라 경제 다른부문까지 연쇄 효과"
"재정·사회적 위험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
"전 세계 가장 큰 부동산 개발업체지만…규모는 전체시장 4% 불과" 낙관론도
[아시아경제] '헝다그룹 파산 가능성' 세계 증시 급락…"중국발 리먼 사태 오나"
수정 2021.09.21 16:16 입력 2021.09.21 11:54
월가 "거품 해소되는 자산 가격 조정 재촉 움직임"
증권가 "정부 지원 이뤄질 것…파장은 제한적 전망"
[파이낸셜뉴스] 中헝다 파산설에 세계 500대 부호 순자산 160조원 '증발'
입력 2021.09.21 15:33수정 2021.09.21 15:40
중국 헝다(恒大)그룹 파산설에 20일(현지시간) 글로벌 증시가 급락하면서 전세계 500대 부호들의 순자산이 1350억달러(약159조8400억원) 증발했다. 야후파이낸스는 이날 전세계 500대 부호 순위를 매기는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경제 chap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투자·종목 분석 (0) | 2021.09.18 |
---|---|
ETF 투자 타이밍 포착(1) (0) | 2021.08.19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링크